본문 바로가기
사건사고

美, 국내 최대 태평염전 소금 수입 차단…"강제노동 확인"

by 13k 2025. 4. 7.
반응형

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01/0015314127?rc=N&ntype=RANKING

 

美, 국내 최대 태평염전 소금 수입 차단…"강제노동 확인"(종합)

관세국경청 "취약성 악용·신분증 압수·협박·신체 폭력 등 드러나" '美 청원' 김종철 변호사 "정부, 염전 강제노동 근절 적극조치 해야" 박성민 특파원 한주홍 기자 = 미국 정부가 국내 최대 규모

n.news.naver.com

 

  • 미국 CBP가 전남 신안 태평염전에서 강제노동이 있었다며 소금 수입을 중단했다.
  • 조사에서 신분증 압수, 협박 등 ILO 기준에 따른 강제노동 정황이 확인됐다.
  • 한국 제품이 CBP 제재를 받은 첫 사례로, 시민단체는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.

 

 

 

 

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01/0015314184?rc=N&ntype=RANKING

 

美 홍역 확산에 아동 또 사망…보건장관, 입장 바꿔 "백신 필요"(종합)

백신 미접종 환자 97%…케네디 장관 책임론 커지자 한발 물러서 어린이병원 의사 "비타민A 등 잘못된 치료로 부작용 사례 다수" 임미나 특파원 = 미국에서 홍역 감염 확산으로 아동이 사망하는 사

n.news.naver.com

 

  • 미국에서 올해 22개 주에서 607건의 홍역 감염이 발생했고, 이 중 97%는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이었다.
  • 백신 회의론자로 알려졌던 로버트 F.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입장을 바꿨다.
  • 그는 MMR 백신이 홍역 확산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정했다.

 

 

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01/0015314172?rc=N&ntype=RANKING

 

4년제·전문대·유치원 다 올랐다…교육물가 금융위기 후 최대↑

대학교·대학원 등록금 물가 상승 단초…추가 인상 가능성도 유치원비 9년만에 최대 폭 상승 이대희 민경락 고상민 기자 = 가계 지출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교육 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

n.news.naver.com

 

  • 올해 3월 교육 물가가 전년 대비 2.9% 상승하여, 2009년 2월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.
  • 사립대를 중심으로 한 등록금 인상이 주요 원인으로, 사립대 등록금은 5.2%, 국공립대 등록금은 1.0% 상승했다.
  • 유치원비도 4.3% 올라 9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을 보였으며, 일부 대학의 추가 등록금 인상 가능성으로 교육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전망이다.

 

 

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01/0015314144?rc=N&ntype=RANKING

 

봉준호 '미키17' 한달만에 극장서 내려…"손실 1천170억원 추정"

미국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에서 오는 7일 밤부터 스트리밍 시작 임미나 특파원 = 봉준호 감독의 할리우드 영화 '미키 17'이 극장 개봉 한 달 만에 적지 않은 손실을 안은 채 상영을 종료하고 안

n.news.naver.com

 

  • 봉준호 감독의 영화 '미키 17'이 개봉 한 달 만에 극장 상영을 종료하고, 4월 7일부터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공개된다.
  • 이 영화는 전 세계 티켓 매출이 약 1억2,238만 달러(약 1,789억 원)에 그쳐, 손익분기점인 3억 달러에 미치지 못했다.
  • 제작비 1억1,800만 달러와 마케팅 비용 8,000만 달러를 고려할 때, 약 8,000만 달러(약 1,170억 원)의 손실이 예상된다.

 

 

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01/0015315619?rc=N&ntype=RANKING

 

관세 충격에 바닥 뚫렸다…코스피·코스닥 나란히 5%대 폭락

7일 코스피가 미국발 상호관세 충격의 직격탄을 맞아 5% 넘게 폭락해 단숨에 2,320대로 내려왔다.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137.22포인트(5.57%) 내린 2,328.20으로 집

n.news.naver.com

 

  •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영향으로 코스피가 전 거래일 대비 137.22포인트(5.57%) 하락한 2,328.20에 마감했다.
  • 코스닥 지수도 36.09포인트(5.25%) 내린 651.30으로 장을 마쳤다.
  • 이날 원/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33.7원 상승한 1,467.8원을 기록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BI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