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應無所住 而生其心
응무소주 이생기심
“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라”
《금강경(金剛經)》
728x90
『금강경(金剛經)』은 대승불교의 대표 경전으로,
공(空)과 무상(無常), 집착을 놓는 삶을 강조해요.
그중에서도 이 구절 “응무소주 이생기심(應無所住 而生其心)”은 핵심 중의 핵심이에요.
“어디에도 머무르지 말고, 그 마음을 일으켜라.”
이 말은 어떤 생각이나 대상에도 집착하지 말고,
고요하고 자유로운 마음으로 살아가라는 가르침이에요.
🌱 머무르지 않는다는 건 뭘까?
불교에서 ‘머무름’은 곧 ‘집착’을 의미해요.
우리는 보통 사랑, 미움, 성공, 후회 같은 감정이나 생각에 머무르며 살아가요.
그러다 보니 과거에 사로잡히고, 미래에 불안해하고, 지금 이 순간은 놓치게 되죠.
『금강경』은 말해요
어디에도 머물지 마라.
그러면서도 자비심은 잃지 마라.
즉, 집착 없이 깨어 있으면서도 따뜻한 마음으로 살아가라는 뜻이에요.
🌼 실생활에 적용하기
후회에 머무르지 않기 : 지나간 실수에 머무르지 말고, 그때의 나도 포용해주기
기쁨에도 집착하지 않기 : 좋은 일이 생겨도 그에 집착하면 결국 실망하게 돼요
평정심을 유지하며 마음 내기 : 머무르지 않되, ‘지금 이 순간’에 최선을 다하기
💬 마음에 새기고 싶은 말
아무것도 움켜쥐지 않을 때, 우리는 진짜 자유로워질 수 있어요.
머무름 없이 흐르는 물처럼, 지금 이 순간을 흘러가게 해보세요 🌊
반응형
BIG
'종교 · 철학 > 불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📿원한은 오직 자비로써 풀린다. - 《법구경》 (2) | 2025.05.19 |
---|---|
📿말이 복이 되기도, 화가 되기도 한다 - 《법구경》 (0) | 2025.05.11 |
📿 모든 것은 마음에서 비롯된다 – 《화엄경》 (0) | 2025.05.03 |